화려한 종 모양의 꽃과 신비로운 색감으로 정원을 장식하는 디기탈리스(foxglove)는, 그 아름다움 뒤에 치명적인 독성을 품고 있는 식물이지요. 디기탈리스 독성의 원인인, 디기탈리스에서 추출한 디기탈리스 배당체는 약간의 과용만으로도 심각한 중독을 일으킬 수 있지만 심장 치료제의 원료로도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디기탈리스 독성 원리와 디기탈리스 중독 증상, 약물로서의 활용과 주의점, 그리고 실제 중독 시 대처법까지 안내해드릴게요!
목차
🌸 디기탈리스란?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 등)는 유럽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보라색·분홍색·흰색 등 다양한 색의 종 모양 꽃을 피웁니다.

디기탈리스의 꽃,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분에 강력한 독성이 있습니다. 주요 디기탈리스 독성 물질은 디기탈리스 배당체(digitalis glycosides)로, 대표적으로 디곡신(digoxin), 디기톡신(digitoxin) 등이 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높여 심부전, 부정맥 치료에 쓰이며, 심박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강심제인 디기탈리스 제제의 성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와 중독의 경계가 매우 좁아 ‘낮은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를 가진 약물로 분류됩니다.
디기탈리스 배당체는 식물의 잎에 가장 많이 존재하며, 섭취 시 인체에 심각한 독성을 유발합니다.
이 때문에 디기탈리스는 ‘dead man’s bell(죽음의 종)’, ‘dead man’s thimble(죽음의 골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죠.
🧬 디기탈리스 독성의 작용 원리와 중독 증상
디기탈리스 배당체는 세포막의 Na+/K+ ATPase 효소를 억제해, 세포 내 나트륨과 칼륨 농도 균형을 깨뜨립니다. 이로 인해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하면서 심근(심장 근육)의 수축력이 강해지고, 동시에 심장 전도계에 영향을 미쳐 심박에 이상이 생깁니다.
디기탈리스 독성으로 인한 대표적인 중독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기: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 신경계: 두통, 혼돈, 방향감 상실, 시야 흐림(노란색·녹색 잔상 등), 어지럼증
- 심혈관계: 부정맥(서맥, 빈맥, 심실성 부정맥, AV block 등), 심정지
- 기타: 무기력, 혼수, 심한 경우 사망.
특히 디곡신(digoxin) 중독의 경우, 시각 이상(노란색·녹색 잔상, 빛 번짐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느려질 수 있습니다. 중독 증상은 섭취 후 수 시간 내에 나타나기도 하고, 만성적으로 누적될 수도 있습니다.
💊 디기탈리스의 약물 활용과 위험성
디기탈리스 배당체(디곡신, 디기톡신 등)는 심장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부전, 심방세동, 일부 부정맥 치료에 사용됩니다.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미주신경(vagal tone) 활성화를 통해 심박수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용량과 독성 용량의 차이가 매우 좁아, 용량 조절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혈중 농도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경구·주사제 모두 사용: 디곡신은 경구 및 주사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신장에서 주로 배설되기 때문에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용량을 반드시 조절해야 합니다.
- 반감기: 디곡신은 30~40시간, 디기톡신은 5~7일로, 만성 복용 시 체내 축적 위험이 높습니다.
- 용량 계산: 지방을 뺀 체중 기준으로 용량을 산정하며, 고령자·신장질환자·저칼륨혈증 환자는 독성 위험이 특히 큽니다.
🚨 디기탈리스 중독의 진단과 응급 대처
디기탈리스 중독이 의심되면, 임상 증상과 혈중 디곡신 농도, 전해질 상태(특히 칼륨) 등을 함께 평가해야 합니다.
중독 진단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혈중 농도: 디곡신의 치료 농도는 0.5~2.0ng/mL, 2.5ng/mL 이상이면 독성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심전도(ECG): 심실성 부정맥, AV block, 서맥 등 다양한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중 칼륨: 급성 중독에서는 고칼륨혈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응급 치료 원칙
- 위세척, 활성탄 투여(섭취 직후)
- 정맥수액, 전해질 교정(특히 저칼륨혈증 교정)
- 심각한 부정맥에는 항부정맥제 투여, 제세동(필요 시)
- 디곡신 특이 항체(Fab fragment) 투여: 심한 중독, 생명 위협 시 효과적.
- 중환자실(ICU)에서 모니터링, 필요 시 인공호흡기 등 지지 요법
디기탈리스 중독의 해독제는 Fab 항체 조각으로, 투여 후 신장에서 배설됩니다. 신부전 환자에서는 Fab-디곡신 복합체가 체내에 오래 남아 재중독 위험이 있으니, 추가 관찰이 필요합니다.
🧑⚕️ 디기탈리스 중독 예방과 실생활 주의점
디기탈리스는 약물로도, 식물로도 매우 강한 독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관상용으로 키우는 경우에도 어린이나 반려동물, 노약자가 식물의 잎이나 꽃, 뿌리를 절대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실제로 어떤 분이 키우던 디기탈리스 잎으로 쌈을 싸먹다 급히 병원으로 이송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디기탈리스 중독은 빠른 대처가 생명을 좌우할 수 있으니,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식물 섭취 금지: 디기탈리스의 모든 부위는 소량만 섭취해도 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약물 복용 시: 반드시 의사 처방에 따라 용량을 지키고, 복용 중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 약물 보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처방받지 않은 사람은 절대 복용하지 않습니다.
- 정원 관리: 관상용 디기탈리스는 식물 이름과 독성 정보를 가족 모두가 알 수 있게 표시해두세요.

참고 자료
- http://www.kacn.org/data/nature/717602.pdf
- https://www.msdmanuals.com/ko/home/%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C%A4%91%EB%8F%85/%EC%8B%9D%EB%AC%BC-%EB%B0%8F-%EA%B4%80%EB%AA%A9-%EC%A4%91%EB%8F%85
- https://www.qia.go.kr/animal/disease/viewWebATPI3439Action.do?type=0&id=125694